[1] | 임원현(2010). 산림테라피 단지 조성의 방향성. 인간식물환경학회지, Vol.13, No.6, pp.63-73. |
[2] | 김종두(2019). 메이커교육과 학교교육의 방향. 에듀테인먼트연구, Vol.9, No.1, pp.134-141. |
[3] | 이정희(2002).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.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. pp.27-29. |
[4] | Sonja, Varbelow; Griffith, Bryant(2012). Deschooling Society: Re-Examining Ivan Illich's Contributions to Critical Pedagogy for 21st Century Curriculum Theory, pp.1-18. |
[5] | Kevin, Costley, C.(2009). Charles Silberman's "Crisis in the Classroom, The Remaking of American Education": A Critical Analysis, pp.1-6. |
[6] | Eminli Heydar(2019). The Need for Assessing Knowledge through Writing for the Quality of Education in Post-Soviet Middle-Low Income Countries with an Emphasis on Azerbaijani Context.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; Vol.12, No.3, pp.50-58. |
[7] | 정은하(2019). 모든 학습자가 창작자가 되는 메이커교육. 서울교육 여름호, Vol.235, p.26. |
[8] | Powell, A., Nielsen, N., Butler, M., Buxton, C., Johnson, O., Ketterlin-Geller, L. and McCulloch, C.(2018). Creating Inclusive PreK-12 STEM Learning Environments. Community for Advancing Discovery Research in Education(CADRE), pp.1-4. |
[9] |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3%EC%B0%A8%EC%9B%90_%EC%9D%B8%EC%87%84(검색일 표시) |
[10] | 네이버 지식백과, 메이커 운동.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3578711&cid=59088&categoryId=59096(검색일 표시) |
[11] | 충북inNEWS(2019). 교육계 핫 이슈 메이커교육, 충북에서도 시동 건다, 3월 20일자. |
[12] | 김종두(2018). 교육사회학. 교육과학사, pp.56-58. |
[13] | Buss D.(이충호 옮김)(2014). Evolutionary Psychology. 진화심리학, 웅진지식하우스, pp.32-43. |
[14] | 통계청(2019). 2019년도 통계연보. 서울: 통계청. (검색일 표시) |
[15] | 중앙일보(2010). 교육현장에서 아동급식 문제. 0월 0일자. |
[16] | 시사저널(2000). 북한 동향. 0월 00일자. p.2-5. |
[17] | New York Times(2000). 헤드라인. 1월 5일자. |
[18] | ChatgptGPT-4(2023.11.23). Prompt(질문, 지시, 요구내용), OpenAI ChatGPT-4를 이용하여 작성함. http://www.chat.coen.com |
[19] | Tilda-Beta(2023.11.30). Prompt(이미지 제작 요구내용), Tilda를 이용하여 생성함. https://www.tilda.co.kr/ |